알림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확인

알림

구매 후 이용 가능합니다.

확인

이용안내

닫기

컨텐츠/취업 적합도

이용하신 아래의 컨텐츠가
취업 준비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확인 취소

제다
Pro D
삼성 기획자

- 전략기획자의 눈으로 보는 IT world

역대 최악의 취업난 속에서도 대기업을 몇 개씩 합격해 골라가는 '취업 깡패'들이 있다. 그들과 일반 취준생들의 차이는 무엇일까? 어떻게 다들 취업 어렵다고 하는데 혼자만 여유 부리면서도 남들 부러워 하는 회사에 취업할 수 있을까? 이 책은 남들이 가고 싶어 하는 기업을 몇 개씩 합격해 골라가는 '취업 깡패'들의 취업 전략과 필자가 그 동안 취업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얻은 노하우를 집약해 만들었다. 이 책이 취업이 막막하기만 취준생들, 자꾸 떨어지는 취업 N수생들, 더 좋은 직장으로 이직을 꿈꾸는 사람들, 그리고 본인만의 차별점을 갖고 싶은 사람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기타 이력 및 포트폴리오

2018~ 삼성그룹 전략팀 - 전략팀에서 신사업 전략기획
2017. SKT 인공지능 사업단 AI서비스기획 인턴 - 주방에서 사용하는 AI스피커 누구 어플 제안
2017. 벤처캐피탈 '더벤처스' - SNS마케팅 및 브랜딩 인턴
2016.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1등) - 펄스널 컬러기반 인공지능 색조 화장품 추천
2015. 한국경제 주관 스포츠창업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2등) - 신소재 스포츠 유니폼
2015. 창업지락 주관 업사이클링 스타트업 대회 대상 수상(1등)

플러스 점수를 받는 자소서 Tips

소제목 써야 하나요?

by Pro D Sep 22. 2019

앞서 우리는 좋은 내용과 정답에 가까운 답변 형식을 조합해 자소서를 준비했다. 이번에는 자소서 관련 소소한 팁들을 통해 플러스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혹은 불필요한 감점을 줄일 수 방법을 알아보려 한다. 한 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이 팁들은 말 그대로 약간의 플러스 점수를 받기 위한 팁일 뿐 점수를 드라마틱하게 올릴 수 있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이다. 진짜 중요한 핵심은 앞서 우리가 준비한 퍼스널 브랜드와 핵심가치, 인재상을 자소서 프레임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다. 이 팁들은 앞선 작업이 완료된 뒤에 자소서의 가독성을 높이는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소제목 써야 하나요?

답은 ‘YES’이다. 자소서 평가하는 사람이나 면접관들은 하루에 수십 명의 자소서를 본다. 처음 몇 개야 정성스럽게 읽겠지만 그들도 사람인지라 점점 힘을 빼고 읽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의 자소서를 한눈에 딱 들어오게 해야 하는데 그럴 때 소제목 만한 것이 없다. 자소서 질문 문항에 대해 내 답변은 이래요를 한 번에 보여줄 수 있는 문장, 본문을 읽기도 전에 내용 파악이 되고 읽고 싶게 만드는 문장, 그것이 바로 소제목의 역할이다. 

 

반대로 소제목이 없을 경우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당신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전체를 다 읽기 전까지는 알 수 없는데 평가자들은 이미 전체를 정성스럽게 읽어볼 만한 시간도 체력도 없는 상태이다. 이런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당신을 최대한 빨리, 효율적으로 알리고 싶다면? 소제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아래는 필자의 예시이다.


[ AI 뷰티 컨설팅 사업기획으로 장관상을 수상하다 ]

전 창업 동아리에서 다양한 분야의 이슈들을 분석하고 공부했습니다. 그러던 중 뷰티 컨설팅 분야에서 제가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이슈를 발견했습니다... (중략) 전 그 문제를 인공지능과 피부 데이터를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 이를 활용한 사업을 기획했습니다. 그 이유는 (중략)... 그 결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할 수 있었고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 덕분에 국비지원으로 특허까지 출원할 수 있었습니다. 전 여기서 000을 배웠고 이는 1년 뒤인 000에서 활용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후략)

 

필자의 경우 사업기획으로 장관상을 수상했다는 스펙을 강조하고 싶었고 또 그것이 자소서 문항에 대한 답변의 핵심이었기 때문에 이를 소제목으로 삼았다. 이처럼 답변의 핵심적인 내용을 소제목으로 써 한 문장만 읽더라도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면 보는 사람 입장에서 훨씬 편하게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소제목을 쓸 때 '[ ]' 이 괄호 안에 넣어 제목을 쓰면 훨씬 깔끔하게 작성할 수 있으니 이 방법을 유용하게 쓰기 바란다.

 


문단 나누기해야 하나요?

가독성 있는 글이 읽기도 편하고 보기도 좋다. 여러분의 자소서를 평가하는 사람들은 오랜 시간 보고서 작업을 해온 사람들이다. 즉, 간결하고 핵심만 이야기하는 문서에 익숙한 사람들인데 보고서의 핵심 중 하나가 가독성이다. 다시 말해,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을 보면 일단 짜증부터 낼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tvN에서 했던 미생이라는 드라마(요즘 넷플릭스에도 있는)에서 주인공의 친구인 장백기가 선배에게 혼나면서 ‘문장 줄여 쓰기’를 배우는 장면이 있다. 아래의 사진이 그것인데 이처럼 직장에서 쓰는 언어는 간결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데에 중점을 둔다. 그런 사람들이 봤을 때 잘 썼다고 느끼려면 최대한 가독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때 문단 나누기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그렇다고 너무 문단을 많이 나누면 오히려 난잡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4~5줄 정도의 적당한 길이로 한 문단을 만드는 것이 좋다. 또한 문장 역시 긴 문장보다는 간결하게 읽힐 수 있도록 짧은 문장을 쓰는 것이 더 가독성을 늘리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출처 : tvN 미생

들여 쓰기 해야 하나요?

들여 쓰기는 선택이다. 문단이 여러 개일 경우 들여 쓰기를 하는 편이 가독성이 좋기는 하지만 글자 수 낭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권장하지는 않는다. 다만 혹시 글자 수가 너무 많이 남을 경우는 들여 쓰기를 통해 글자 수를 확보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겠다.

  


‘저는’이라는 말은 써야 하나?

필자의 안 좋은 습관 중 하나가 자소서를 쓸 때 ‘저는’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 것이었다. 취준생 시절 잘 썼다고 생각한 자소서를 들고 멘토링을 받으러 간 적이 있었는데 ‘저는, 제 경우는’ 등등 자신을 지칭하는 말을 너무 많이 써 문장도 조잡해지고 글자 수도 낭비했다는 평가를 몇 차례나 들었다. 자소서는 어차피 여러분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읽는 사람 입장에서 모든 문장이 전부 여러분 한 명의 이야기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를 지칭하는 단어는 최소한으로 쓰는 것이 가독성으로 보나 글자 수 확보를 위해서나 바람직하다. 만약 자소서를 다시 읽어 봤을 때 너무 많은 ‘저는’이 쓰여 있다면 과감히 빼는 연습을 해보자.

 


1등 기업이기 때문에? 잘 나가는 기업이라서?

지원동기를 쓸 때 가장 많이 보는 답변인데 '000 회사는 업계 최고의, 업계 1위의' 등등 회사 칭찬으로 시작해서 마지막에는 '최고의 회사 000'에서 일하고 싶습니다. 등으로 끝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평가자들이 여러분에게 듣고 싶어 하는 말이 아니다. 그들이 여러분에게 듣고 싶어 하는 것은 '당신은 어떤 사람인데 그런 당신이 이 회사에 어떤 면을 보고 들어왔는지'이다. 즉, 여러분의 생각과 이유가 핵심이고 그것을 통해 어떻게 회사를 선정하게 되었는지를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회사가 업계 1위이던, 매출이 얼마던 그건 중요하지 않다. 그건 이미 그들도 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업계 1위라서, 잘 나가는 기업이라서' 등의 이유로 지원동기를 가득 채우는 것을 지양하고 여러분의 이야기를 해주는 것을 지향해야 한다.  

 

지원동기 만큼 어려운 것이 없다. 다 돈 벌고 싶어서 취직하는 거지 정말 그 회사에서 큰 발전과 성공을 하겠다는 취지로 지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반드시 써야 하는 지원동기에는 '저는 이런 사람인데 이 부분이 이런 일을 하는 회사와 잘 맞을 것 같고, 특히 제가 지원한 직무인 000에 잘 맞을 것 같아요. 전 그것을 대외활동이나 인턴 등으로 증명해 왔습니다. 잘 보시고 괜찮으면 뽑아주세요.'처럼 여러분의 이야기를 더 많이 하는 것을 권한다.


말투

멘토링 지도 중 극소수의 취준생들이 마치 수필이나 리포트 같은 말투로 글을 써왔다. 예를 들면,

 

“00을 해서 00한 결과를 얻었다(얻었음). 그 결과 00의 중요함을 배울 수 있었다.(있었음)”

 

과 같은 멘트를 썼었는데 이는 지양해야 하는 말투이다. 여러분의 자소서를 읽는 사람들에게 여러분을 최대한 정중하게 소개해야 하는 상황에서 자기 말만 하고 닫아 버리는 평서문이나 음슴체를 쓰는 것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여러분의 성격이나 태도를 부정적인 방향으로 오해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90% 이상의 취준생들은 이렇게 쓰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안 좋은 방향으로 눈에 띄어 탈락의 고배를 마실 가능성도 높다. 그러니 되도록이면 가장 일반적인 자소서용 말투,

 

“00을 해서 00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00의 중요함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처럼 ‘습니다’체를 쓰는 것을 권한다.

 


접속사

글의 흐름이 너무 이상하지 않으면 접속사도 줄여서 글을 최대한 담백하고 가독성 좋게 만드는 것이 좋다. 보고서용 글에는 접속사가 거의 쓰이지 않기 때문에 평가자들은 접속사가 너무 많은 글에 지루함을 느끼고 선호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접속사 역시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흐름에 문제가 될 정도라면 당연히 접속사를 통해 매끄러운 글을 만들어야 한다.

 


답변 마무리는 감사합니다?

간혹 자소서 문항 마지막에 “감사합니다” 혹은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등등의 문구를 써넣는 멘티들이 있었는데 이는 불필요하다. 길어야 1,000자 내외인 자소서 안에 최대한 여러분의 이야기를 해야지 감사합니다 같은 인사는 소중한 글자 수를 낭비하는 것이다. 되도록이면 쓰지 않는 것을 추천하는데 만약 답변이 지나치게 짧다면 감사합니다 보다는 “이 회사에서 일하게 된다면 앞서 이야기한 제 강점 등을 통해 회사에 기여하고 열심히 배우며 발전하겠습니다”와 같은, 여러분의 태도와 다짐 등을 보여줄 수 있는 멘트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목록